358번째 교회파수- 선교적 사명을 잊고 허망함을 좇고 있는 한국 교회들

\ 아버지여 선교사 파송 2위 국가라는 한국 교회들을 향해 주께서 주신 큰 선교적 사명의 은혜를 망각한 채 방종과 타락을 세상과 벗하여 하였고 허망함을 우상처럼 좇았음을 이 시간 회개합니다. 주의 제자로서의 사명 즉 땅끝까지 이르러 복음을 증거하는 일에 대한 사명과 은혜가 떠가가고 있음에도 이가봇의 영에 묶여 그것을 깨닫지 못하고 방종하고 있는 한국 교회와 우리 자신을 마음 […]

358번째 교회파수- 선교적 사명을 잊고 허망함을 좇고 있는 한국 교회들 Read More »

358번째 불교권- 정치 경제 탄압과 종교의 영에 묶인 티베트 땅

[상황설명] 중국 내 티베트인 집단 거주지역에서 분리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2013년 말 기준 4년동안 125명이 분신 자살을 통해 중국 정부에 대해 항거를 했습니다. 정치적인 이슈와 더불어 티벳 자치구의 600만명의 주민들의 경제적 위기도 가중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티벳 민주 촉진센터의  ‘2013년 티베트 인권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들어 쓰촨(四川)성 티베트 자치주 써다(色達)현과 칭하이(靑海)성

358번째 불교권- 정치 경제 탄압과 종교의 영에 묶인 티베트 땅 Read More »

358번째 교육,문화 영역- 비기독교적 상담, 심리, 문화 교육의 확산과 파급

오늘날 한국과 미국 등 서구 사회에서 물질적 풍요함 이후에 역설적으로 나타나는 정신적 곤고함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과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담과 심리 전문가를 찾거나 관련된 문화 콘텐트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이들 중 상당수는 비기독교적 접근과 심지어 뉴에이지적인 방법으로 치료와 상담을 진행하고 있고 새로운 피조물로의 형상 회복을 외면한 철저히 인본주의에

358번째 교육,문화 영역- 비기독교적 상담, 심리, 문화 교육의 확산과 파급 Read More »

358번째 UUPG-티벳 쩨쿠 종족

•48,000여명의 티벳의 쩨쿠종족은 캄언어를 사용하고 남쪽의 티벳 고원지대에 살며, 그들만의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티벳의 쩨쿠종족은 웅장한 히말라야 산맥에 갇혀 삼림을 주요자원을 삼아 폐쇄적인 공동사회를 형성하여 살고있습니다. 티벳의 쩨쿠종족은 진흙과 돌, 나무로 만든 1층짜리 집을 만들어 삽니다. 산악지대라서 평지가 부족한 까닭에 모든 가구 앞에는 널판지를 만들어 발판을 만들어 놓는데, 어떤 집의 문을 열면 다른

358번째 UUPG-티벳 쩨쿠 종족 Read More »

357번째 UUPG- 중국 써 종족

써 종족은 중국에서 공인한 55개의 소수민족 중 20번째로 많은 민족으로 인구는 백만 명 정도입니다. 중국 남동부의 푸젠(Fujian) 성에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하카(Hakka)어를 사용하지만, 오늘날에는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며, 구릉지를 따라 쌀, 목화, 차(茶), 곡식 등을 재배합니다. 써 종족은 특별한 축제 행사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노래 부르는 것을 즐깁니다.  써 종족의 집을 방문할

357번째 UUPG- 중국 써 종족 Read More »

357번째 공산권: 감시와 탄압의 위협을 받고 있는 중국의 선교사님들

•[상황설명] 최근 중국 당국에 의한 한국 등 외국 선교사들의 집중 감시와 탄압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증거되고 있습니다. GMS 의 보고에 따르면 작년 한해 이미 11 가정이 중국에서 추방당하거나 입국거부를 당했다고 하면서 2013년 7월부터 강화된 비자법에 의해 학생비자나 관광비자 등으로 입국하여 중국에서 사역하던 선교사들이 계속적인 곤경에 처하고 있다고 보고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도에 따르면 단속 공안에

357번째 공산권: 감시와 탄압의 위협을 받고 있는 중국의 선교사님들 Read More »

357번째 교육영역-세속화와 인본주의 가치관에 묶여 있는 무너진 교육현장

 [상황설명] “부자가 돼서 좋은 집에서 살고 명품 승용차를 타고 다니고 싶어요” 이것은 중국의 어느 초등학교 6학년에서 자신의 장래 희망에 대해서 설문조사 한 결과 중 하나로서 이제 중국 어린 아이들의 마음 속에는 더 이상 시대의 영웅은 없었고 도리어 자신의 실속을 채우는 미식가나 지방 호족 심지어는 탐관을 이상으로 삼는 아이들도 많았음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이미 오래

357번째 교육영역-세속화와 인본주의 가치관에 묶여 있는 무너진 교육현장 Read More »

357번째 교회파수- 실제와 삶 되지 못 한 신앙생활

하나님 이 시간 신앙이 “실제와 삶”이 되지 못한 채 허울좋은 이론으로 받아들여지는 우리의 죄 됨을 주 앞에 회개합니다. 교회가 교회 되지 못하고 서로 사랑하란 말씀을 외면한 채 교회 안에서 조차 갈림과 분열을 일삼고 서로를 비방과 정쟁의 대상으로 삼는 원수의 노략거리가 되었음을 마음 깊이 회개합니다. 주여 이제 세상과 섞여서 저 허망한 정치와 이념 놀음에 빠졌던 한국의

357번째 교회파수- 실제와 삶 되지 못 한 신앙생활 Read More »

349번째 이슬람권- 에볼라 서부 아프리카 확산 우려

[상황설명] 서부 아프리카 기니에서 에볼라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가 1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세계보건기구(WHO)가 이번 상황을 역대 가장 위협적인 에볼라 발병 사태 중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1월 기니 동남부에서 에볼라 환자가 발생한 이후 기니와 국경을 맞댄 이웃 국가들인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말리까지 퍼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출혈열을 유발하며 최대 90% 치사율을 보이나 치료약이나 예방 백신이 없습니다.

349번째 이슬람권- 에볼라 서부 아프리카 확산 우려 Read More »

Scroll to Top